반응형

루핑(Looping)

프레임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으로 돌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


1. 호스트 A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보낸다

2.양쪽 브리지(스위치)로 전달이 된다(이더넷 특성상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브로드캐스트가 전달됨)

3.두 개의 브리지는 패킷을 분석한다.

4.브로드 캐스트 패킷이란걸 알아낸 브리지는 Flooding 하게된다(브리지 테이블에 없거나,멀티캐스트 주소이거나, 브로드캐스트 주소인 경우)

5.상대방쪽 세그먼트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보내진다. (=양쪽 브리지의 아래쪽 포트로 전달되고 이 패킷 역시 브리지 특성에 따라 다시 위로 전달된다~> 무한반복 뻉뻉뻉뻉~~~)

6. CSMA/CD의 특성으로  한 세그먼트 안에서 한 순간 오직 하나만 통신이 가능하므로  손쓸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것을 막아주기 위해 나온 알고리즘이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미리 막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들을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만약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

폴트 톨러런스(Fault tolerant)

-네트워크 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것(장애 대비책)

-ex.라우터를 두대를 놓는다( 하나가 죽으면 하나가 살아나는 방식)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로드를 분산하는 것

-ex. 인터넷 회선 하나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대신 인터넷 회선을 두 개 사용하는 것. 이렇게 되면 데이터들이 두 라인중 하나를 선택해서 이용하기 때문에 로드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속도가 2배!


~> 대부분의 로드 밸런싱은 폴트 톨러런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폴트 톨러런스의 경우 로드 밸런싱이 되지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반응형

'과거의 컴퓨터 공부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0) 2014.03.25
(4)IP  (0) 2014.03.25
(3) 네트워크 장비2.스위치,브리지  (0) 2014.03.24
(3) 네트워크 장비1.허브  (0) 2014.03.24
(2)OSI 7 Layer, Protocol  (0) 2014.03.23
,